본문 바로가기

세계, 내가 발 딛고 있는

'지구의 날'에 펼치는 '김소진'과 '치아파스'커피

오늘, 가급적 걸었어.
햇살도 좋았고, 바람이 약간 세게 불긴 해도, 봄과 뽀뽀하기 좋은 날씨더라.

그래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든 까닭도 있었지.
무엇보다 오늘, '지구의 날'이었기 때문이야.
평소 지구를 완전 사랑해서 생활에서 완벽하게 지구를 사랑하는 방법을 실천한다,
고 하면 완전 쉐빠알간 거짓말이고,
내가 발 딛고 있는 이 지구에 대한 아주 최소한의 예의.

 

지구가 아프다는 것, 상태가 썩 좋은 것만은 아니란 것, 짐작할 뿐이야.
얼마나 아프고 증상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나는 정확하게는 몰라.
내 생각엔, 지구는 끙끙 앓는 소리를 내기보다는 한순간 펑~하고 소멸해버릴 것 같아.

1970년 미국에서 태동한 '지구의 날'의 계기는,
전년도 캘리포니아주에서 일어난 기름유출사고였대.
데니스 헤이즈라는 청년이 나서서 준비한 첫 행사에선,
무려 2000만명이라는 인파가 참여했고.
당시 뉴욕에선 이날 자동차 통행도 금지시켰을 정도래.

우리나라는 1990년부터 환경단체 중심으로 행사가 진행된다지.
그렇다손, 늘 개발주의자 혹은 성장지상주의자에 의한 국가체제에서,
'지구'가 언제 진지한 고려의 대상이 된 적이 있었나.

그 흉칙한 토건성은,
용량 딸리는 MB에 의해 점점 더 강해지고 있는 형국이고.

단적으로, 태안반도 기름유출사고 난 이후 우리는 제대로 성찰했을까.
기득권 위정자들의 성찰은 더 요원하고.

명함엔 그래서 이렇게 팠다.
"좀 더 불편하면 지구가, 우리가, 내가 살아난다."
많이 듣던 얘기라고? 맞아.

어디선가 본 구절인데, 약간 살을 붙였어. 원래는 "좀 더 불편하면 지구가 살아난다"였거든.

알지? 나 초식성인거.
그래서, 크고 거대한 바람따윈 없어.
고저, 너와 내가, 우리가 안전하고 별일 없이,
이 지구 한구석에서 편안하게 숨을 쉴 수 있었으면 좋겠어.

너와 함께 푸른 하늘 아래서,
따사로운 햇살과 봄바람을 맞으며, 
마음 담은 커피 한잔 마시고 싶을 뿐이라규.
 
그리고, 내 손엔 고 김소진의 책.
소외되고 외면받는 존재에 대한 한없는 연민을 품고,
도시 서민의 곤궁과 핍진을 강요하고, 낙오와 패배를 일상화시킨 체제를 고발했던,
눈 밝은 사람의 흔적.

그의 육체가 지구에서 박동을 멈춘 지, 벌써 12년.
선배라고 부르고 싶었으나 결국 부르지 못하고 말았던 그 이름.
지구의 날에는 김소진을 함께 불러보는 것, 어떻겠어?^^



그리하여,
4월22일, 오늘의 커피는,
착한(공정무역) 유기농 커피인 멕시코 치아파스 커피.
마야의 후손이자 멕시코에서 가장 가난한 주의 하나인 치아파스 주에서 생산된.

너와 내가 연결돼 있고, 
치아파스 농민과 우리가 잇닿아 있음을 알려주
,
빈곤과 소외가 어느 한 개인의 무능이나 책임 때문이 아닌,
지구 위에 함께 발 딛고 서있는 우리 모두의 것임을 알게 해주는.

지구의 날, 김소진, 착한 커피 그리고 당신과 나.

그 어느해, 4월22일,
너와 내가 함께 있는 이날의 풍경.
지구는 그런 우리를 기억해 주겠지?
우리는 그때 이 지구에 발 딛고 있었음을 기억할테고.^^